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monorepo
- 파일조회
- 티스토리챌린지
- coarse-grained
- nestjs libraries
- 권한검증
- guard
- 셀렉트어드민
- nestjs decorator
- typeorm
- 멀티테넌시
- YouTube Data API
- mailerservice
- SW마에스트로
- Connection pool
- 오브젝트
- nestjs library
- API 설계
- SROOM
- fine-grained
- 추상 클래스
- 오블완
- API 개발
- 책임부과
- 어드민 페이지
- NestJS
- jest
- java
- Mock
- 자바
- Today
- Total
목록자바 (5)
독산구너
목차글의 목적제 주력 언어는 자바이고 자바의 타입과 논리구조가 익숙합니다. 그렇기에 최근 인턴과정에서 사용하게 된 Typescript를 다루는것이 생각보다 어려웠습니다. 어려움 중 하나였던, 타입(Type)의 차이에 대해 일부분 알아보고, 이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글을 쓰게 된 이유이광근 교수님의 '컴퓨터 과학이 여는 세계'에서는 컴퓨터의 타입(Type)을 '프로그램이 최종적으로 만드는 데이터의 종류' 라고 설명합니다. 언어가 포함하는 논리식의 결과물(데이터)를 '종류' 까지만 초점을 가지고 분류한 결과물이라는 것입니다. 이 대목에서 "그럼 자바와 자바스크립트의 논리식의 차이점이 있는건가?" 라는 질문이 들었습니다. 자바스크립트는 자바와 다르게 undefined, NaN, Infinity와 같은 더 세부..
이 글의 목적 - '스룸' 프로젝트의 리팩토링 과정을 설명하고자 합니다. - '스룸' 프로젝트의 공동 개발자들에게 재설계한 객체 협력 구조를 설명하고, 피드백 받고자 합니다. 설계 원칙 '코드로 이해하는 객체지향 설계, 오브젝트' 를 읽고 데이터 중심 설계가 아닌 객체 지향 설계를 하여 '스룸' 프로젝트 BE 소스코드를 리팩토링 하고자 합니다. 많이 부족하지만, 다음과 같은 기준을 두고 설계를 해보았습니다. 1. 책 오브젝트에서는 객체들에게 적절한 책임을 부과하고 객체간의 협력관계를 가지게 하는것은 어려우며, 데이터 중심 설계로 먼저 코딩한 뒤, 이를 바꾸는 방식도 괜찮다고 하였습니다. 이미 모든 서비스 로직이 마련되어 있으니, 최대한 객체의 데이터가 아닌 책임과 역할에 집중하고자 합니다. 2. 객체보다..
이 글의 목적 - '스룸' 프로젝트의 BE 구조 리팩토링의 필요성을 설명하고자합니다. 리팩토링을 하게 된 과정 '스룸'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4m9d' 팀의 SW마에스트로 백엔드 담당 멘토님께 BE repo 코드 피드백을 받았습니다.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service에서 하는 일이 너무 많다. - 의존관계가 복잡하다. 이상하다. - private과 public 인 경우를 구별해라 - 자바 공부를 해라 이러한 피드백을 자바 스프링을 사용하여 개발을 하는 과정에서 '객체지향적인 코드를 작성하지 않았다'라는 의미로 받아들였고, 조영호 저자인 '코드로 이해하는 객체지향 설계, 오브젝트' 를 읽고 이를 프로젝트에 적용하여 리팩토링 하게 되었습니다. '오브젝트' 의 내용 간략하게 책 '오브젝트' 의 내용을..

SROOM 프로젝트에서는 다음 화면과 같이 youtube 에 있는 영상, 재생목록을 키워드로 검색하고, 상세정보를 불러와 학습 코스에 등록하는 기능이 존재합니다. 이때 정보를 불러오기 위해 Youtube Data API 를 사용하는데, 이곳에서 제공하는 api는 다음과 같습니다. 출처 : https://developers.google.com/youtube/v3/docs [search] -> 키워드 검색결과를 가져오는 api 입니다. GET https://www.googleapis.com/youtube/v3/search 이때, 쿼리 파라미터로 여러 값이 입력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여러 파라미터가 존재합니다) - q : 검색된 키워드 - part : 필요한 정보 (snippet, id, kind .....

SROOM 프로젝트에서는 다음 화면과 같이 youtube 에 있는 영상, 재생목록을 키워드로 검색하고, 상세정보를 불러와 학습 코스에 등록하는 기능이 존재합니다. 이때 정보를 불러오기 위해 Youtube Data API 를 사용하는데, 이곳에서 제공하는 api는 다음과 같습니다. 출처 : https://developers.google.com/youtube/v3/docs [search] -> 키워드 검색결과를 가져오는 api 입니다. GET https://www.googleapis.com/youtube/v3/search 이때, 쿼리 파라미터로 여러 값이 입력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여러 파라미터가 존재합니다) - q : 검색된 키워드 - part : 필요한 정보 (snippet, id, kin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