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셀렉트어드민
- 티스토리챌린지
- 오블완
- 멀티테넌시
- fine-grained
- nestjs decorator
- 자바
- coarse-grained
- 오브젝트
- jest
- nestjs libraries
- nestjs library
- 어드민 페이지
- java
- NestJS
- YouTube Data API
- SROOM
- 추상 클래스
- API 설계
- monorepo
- mailerservice
- Mock
- 책임부과
- API 개발
- 권한검증
- typeorm
- 파일조회
- SW마에스트로
- Connection pool
- guard
- Today
- Total
독산구너
[Agile] Jira, Confluence 사용기 - 스프린트 플래닝 본문
SROOM 프로젝트에서는 애자일 방법론 중 스크럼 방식을 도입해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Jira, Confluence를 사용해 스크럼을 효율적으로 진행하고자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스프린트 플래닝을 다루고자 합니다.
스프린트 플래닝
스프린트 플래닝에서는 해당 스프린트에서 진행할 백로그를 선택 또는 생성하고, 스프린트 목표를 설정합니다.
SROOM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4m9d 팀에서는 스프린트 주기를 2주로 설정하였습니다.
스프린트 플래닝은 Confluence에 작성합니다.

멘토가 제안하는 아이템의 경우 진행 아이템은 스크럼 마스터를 맡아주신 멘토님이 제안하는 아이템입니다.
장기 Task 아이템은 현재 스프린트를 포함해서 장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Task에 대한 아이템입니다. 예를들어 기획심의 준비를 위해 이번 스프린트에서 기획서와 발표 PPT를 완성하는 것을 스프린트 목표로 삼았을 때, 기획심의 준비라는 큰 목표가 드러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장기 Task 아이템에 작성합니다.
다음은 진행 아이템(백로그) 예시입니다.

컨플루언스에서 표 안에 Task를 모두 작성하고 그래그하여 이슈만들기를 클릭하면 다음과 같이 여러개의 이슈 만들기를 할 수 있고, Jira의 백로그에 추가됩니다.

이렇게 추가된 백로그로 jira에서 스프린트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하나의 이슈에서는 다음과 같은 설정이 가능합니다.
1. 담당자 지정
2. 우선순위 지정
3. 에픽 지정
4. 최초 추정치 (해당 이슈에 얼마만큼의 시간이 걸릴지 작성합니다)
4. 개발의 경우 Github와 연동하여 브랜치 만들기
이렇게 되면 칸반 보드에 할일에 모든 이슈가 들어가게 됩니다.

'프로젝트 > [SW마에스트로] SROOM' 카테고리의 다른 글
Dto, Vo, Entity의 차이점과 쓰임에 대해서 (4) | 2023.10.24 |
---|---|
데이터 중심 설계에서 책임 주도 설계로 ('오브젝트'를 읽고) -2 책임 주도 설계 과정(강의등록) (3) | 2023.10.15 |
데이터 중심 설계에서 책임 주도 설계로 ('오브젝트'를 읽고) -1 기존 프로젝트 문제점 발견 (0) | 2023.10.15 |
Youtube Data API 사용기 - 추상클래스 사용해서 url 생성 (0) | 2023.09.11 |
Youtube Data API 사용기 - 추상클래스 이용 (0) | 2023.08.21 |